티스토리 뷰
육아와 주거비 부담을 덜어줄 복지 혜택이 있습니다. 부모급여, 가정양육수당, 주거급여를 통해 지원받을 수 있는 방법을 자세히 정리했습니다.
부모급여, 가정양육수당, 주거급여란?
정부에서 제공하는 복지 제도인 부모급여, 가정양육수당, 주거급여는 저소득 가구와 육아 가구를 지원해 생활비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생활을 도와주는 제도입니다. 각 혜택의 지원 대상과 금액, 신청 방법을 한 번에 정리해보았습니다.
1. 부모급여
1) 부모급여란?
부모급여는 만 0세에서 만 1세 영아를 양육하는 부모에게 지원되는 금전적 지원입니다. 육아에 필요한 비용을 덜어주고 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것이 목적입니다.
2) 지원 대상
만 0세~1세 이하의 영아를 양육하는 가정.
소득 및 재산에 관계없이 모든 가정에 지원.
3) 지원 금액
만 0세(출생~12개월): 월 70만 원.
만 1세(13개월~24개월): 월 35만 원.
어린이집 이용 시 보육료 지원으로 대체.
4) 신청 방법
온라인 신청: 복지로 또는 정부24에서 신청 가능.
오프라인 신청: 주민센터 방문 후 신청서 작성.
2. 가정양육수당
1) 가정양육수당이란?
가정에서 아이를 양육하는 가정에 지원되는 수당으로,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이용하지 않는 가정이 대상입니다.
2) 지원 대상
만 0세~5세 아이를 가정에서 양육하는 가정.
어린이집, 유치원 등 공공 보육 시설 이용 가정은 제외.
3) 지원 금액
만 0세: 월 20만 원.
만 1~2세: 월 15만 원.
만 3~5세: 월 10만 원.
4) 신청 방법
온라인 신청: 복지로에서 가능.
오프라인 신청: 주민센터 방문 후 신청.
3. 주거급여
1) 주거급여란?
주거급여는 저소득층 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임대료나 주택 유지비 등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2) 지원 대상
기준 중위소득 47% 이하 가구.
예: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 약 241만 원 이하.
소득과 재산 기준 충족 필요.
3) 지원 내용
1. 임차가구: 매월 임대료 지원.
지원 금액은 가구 수와 지역에 따라 상이(대도시, 중소도시, 농어촌 기준).
2. 자가가구: 주택 유지·수선비 지원.
경보수: 최대 457만 원.
중보수: 최대 849만 원.
대보수: 최대 1,241만 원.
4) 신청 방법
온라인 신청: 복지로에서 가능.
오프라인 신청: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.
5. 복지 혜택의 장점
육아 및 생활비 부담 완화: 부모급여와 양육수당은 아이 양육에 실질적인 도움이 됩니다.
주거 안정성 제공: 주거급여는 저소득 가구가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줍니다.
마무리
부모급여, 가정양육수당, 주거급여는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마련된 소중한 복지 제도입니다. 각 제도의 지원 조건과 신청 방법을 확인하고, 필요한 혜택을 빠짐없이 챙기세요. 온라인 또는 가까운 주민센터를 방문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으니, 아이와 가정의 행복한 생활을 위한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.
'생활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P 프린터 드라이버 바로 다운로드 하는 방법 (0) | 2023.11.02 |
---|---|
캐논 프린터 드라이버 바로 다운로드 하는방법 (0) | 2023.11.02 |
서민금융 정부지원 햇살론 소액생계비 지원제도 알아보기 (0) | 2023.09.26 |
소상공인 정부지원 자동화(키오스크) 촉진자금 스마트 자금 알아보기 (0) | 2023.09.26 |
국가형 긴급복지 지원 자격요건 신청방법 알아보기 (0) | 2023.09.25 |